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Bouncing ideas 생각 작업실 71

음운론 연구자가 Mac에서 fairseq 쓰려고 도전

0. 이 글은 무슨 글? 이 글은 이론 음운론 연구자가 음운론적 논증을 하기 위한 과정에서 fairseq에 입문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이 글의 교훈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fairseq 모델 train하는 건 Google colab에서 하는 게 더 빠르지만, training 끝난 모델을 이용하는 데에는 M3 base Macbook Pro가 충분하다는 것. 로컬로 training하는 것보다 Google colab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T4 쓰는 게 더 빠르다. 주로 실패한 과정을 기록한다. 이렇게 실패한 기록을 하는 것은 다른 사람(e.g., 미래의 나)이 실패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배경이 되는 간단한 하드웨어 스펙을 적어놓고 시작한다. Macbook Pro 2023 / M3 (base model) / 1..

김경아 "한국어 음운론" 의 이중모음 활음 반모음

0. 요약김경아 "한국어 음운론"에서는 이중모음을 구성하는 반모음(활음)과 핵모음 모두를 음소로 봅니다. 이 글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이 교과서에서 이중모음과 반모음(활음)을 다룬 부분을 인용하며 또 잡다한 이야기도 하겠습니다.  1. 이중모음과 활음의 지위서울여대 국문과 김경아 교수님의 교과서 '한국어 음운론'을 구했습니다. 아주 콤팩트하게 기본 개념들을 명확하게 설명해 주신 것 같고 도표와 표도 도움이 많이 되어서 좋네요. 교과서 읽는 것에는 독특한 재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교과서를 쓴다는 것은 정말 큰 그림을 본다는 것이므로 어떤 분야든 대학교 학부 교과서를 쓸 수 있는 저자들은 그 분야의 진정한 대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https://kobic.net/book/bookInfo/view.do?isb..

음운론 전공자가 공부해본 통사론

0. 요약저는 음운론을 전공하는 박사과정생입니다. 그러나 통사론에도 호기심이 있습니다. 음운론에서는 선수 역할을 해야한다면 통사론에서는 관중의 입장이 되므로 흥미롭게 그리고 부담없이 공부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통사론은 정말 어렵고, 통사론자들 중에는 천재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통사론자 여러분 정말 존경합니다.) 제가 통사론, 특히 한국어 통사론이 알고싶어서 읽었던 책들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그 책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한국 대학교 학부 3학년 통사론에서 B받을 정도의 수준에서, 박사과정 중 통사론으로 졸업자격논문을 쓰기 위해 최소주의 통사론 논문들을 읽는 수준에 이르기 까지, 제가 접한 책들과 자료들을, 그냥 책 목록과 간단한 설명을 나열하겠습니다. 읽은 순서대로입니다. 목차      1..

Mac에서 받은 파일 한글 깨짐 해결

0. 요약Mac 시스템에서 한글로 쓴 파일이름이나 기타 텍스트를 다른 시스템에서 열었을 때 한글이 분해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다. 아래의 스크린샷으로 예시한다. 골치아픈 문제이다. 이 포스팅에서 간단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냥 결론부터 보고싶으면 [여기]를 클릭  이건 옛날 옛적 조합형-완성형 인코딩 논쟁을 떠오르게 하는데, 사실은 시스템 간 유니코드 정규화 방식 차이로 인한 것이고 해결은 어렵지 않다. 구체적으로 말했을 때 Darwin 계열 OS인 Mac은 한글 문자의 정규화 방식으로 NFD(Normalization Form Decomposition)를 사용하는데, Windows나 대부분의 Linux distribution에서는 NFC(Normalization Form Decomposition)를 사용하..

자동으로 한국어 praat textgrid 생성 - Montreal Forced Aligner 사용법

0. 들어가기에 앞서사용한 Montreal Forced Aligner 버전: 2.2.15사용한 Korean Acoustic Model: korean_mfa (Version 2.0.0rc4.dev19+ged818cb.d20220404사용한 Korean pronunciation dictionary: korean_mfa음성녹음이 있다. Praat에서 음향분석하려고 한다. 가장 처음 해야 하는 일은 annotation을 하는 것이다. 근데, 음운론자로서 음향분석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면, 손으로 다 annotation하는 건 정말 귀찮고 골치아픈 일이다. 이제 손으로 다 하지말고 언어모델의 도움을 받아서 빨리빨리하자. 이건 Montreal Forced Alginer로 한국어 forced align하는 팁이다...

지겨운 한국어 행간주석(interlinear gloss) 컴퓨터 시키기

0.  요약한국어 행간주석을 자동으로 생성하려면 Korean auto-glossing 툴을 이용하세요.[Github repo 링크] 본 포스팅에서는 Korean auto-glossing을 로컬로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소개합니다. 설치 어려워서 못하시는 분을 위한 web ui 체험(아주느림)도 있습니다. 목차  1. 행간주석이 뭐야?행간주석(interlinear glossing)은 통사론/의미론 논문을 쓸 때 언어 예문을 제시하는 방식입니다.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Leipzig Glossing Rules [specifications 링크]입니다.   (고양이 사진 출처)통상적으로 행간주석 interlinear glossing 은 4줄로 구성됩니다. 고양이 사진은 있으면 좋지..

대학원 오게 만드는 언어학 책들

0. 도입교보문고 광화문 점에 가면 돌판에 이렇게 써있습니다.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사람을 만드는 책"은 어떤 책일까요? 아마도 20대 학부생 때, 잘 모르는 상태에서 읽은 책이 한 사람의 관점을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는 않을까요? 제가 결국 음운론을 연구하는 사람이 되고, 음운론 중에서도 다른 것이 아닌 바로 저의 주제를 가지고 씨름하게된 것도 어쩌면 그 시작에는 (몰라서) 아무렇게나 읽었던 책들이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읽은 아무책 중에서도 지금까지 기억하는 것이라면 그만큼 언어나 공부에 대한 저의 관점에 큰 영향을 준 책일 것입니다. 바로 아래의 책들입니다. The Language Instinct by Steven Pinker (역본: "언어..

실시간으로 한국어 최소대립쌍을 산출해보자

0. 요약베타버전입니다.  음소 2개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한국어 최소대립쌍 찾아주는 웹앱입니다. 많은관심부탁드립니다.   (혹시 바로 아래에 아무것도 안뜨고 흰 공백만 보인다면, 앱이 로드되는 중이므로 5초에서 10초정도 기다리시거나 '새로고침'해주세요) 사용법 예시:   앱이 마음에 드셨으면 아래버튼을 눌러서 기부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수입은 유지비로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1. 베타일단 앱을 띄워는 놓았는데, 뭐 땅파면 돈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돈내면서 계속 서버를 켜놓을 수는 없다. 내가 돈이 많거나 희생정신이 투철해서 "연구자 커뮤니티를 위해 기부하겠습니다"할 깜냥도 아니고.ㅋㅋㅋ 그래서 30분 inactive 상태면 앱이 잠들게 해놓았다. 만약 (그럴일이 없겠지만) 트래픽이 너무 많..

몰타어에 대한 접근과 관찰지점

0. 프리퀄 몰타어의 층위 구성에 대한 프로필은 여기 몰타어에 대한 역사적 개괄은 여기 1. Mifsud 1995 Mifsud 1995는 몰타어 외래어를 4가지로 분류한 박사논문이다. 한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몰타에서도 소위 '순혈주의' 언어관이 팽배한 것 같은데, 그런 측면에서 고유어화된 정도에 따라 외래어를 분류하는 것은 상당히 신선한 시도라고 (스스로) 자평한다. 어쨌든, 프리퀄에서 검토했듯, 몰타어에 들어온 유럽어 계열 외래어는 얼마나 오래전에 들어왔냐에 따라 형태론적 패턴이 다르다. 오래전에 들어온 외래어들은 아랍어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최근에 들어온 외래어 (콜록 콜록) 영어 (콜록 콜록) 일수록 원어와 같이 접두사/접미사 붙이는 패턴을 따른다. 그런데 Mifsud 1995는 단순히 분류학적..

Maltese 역사 스케치

0. 요약 Maltese는 한국어와 비슷하게 층위언어다. 아랍어 계통을 기반으로 하고 그 위에 로망스어군 (시칠리아어, 이탈리아어)가 덧입혀지고 그 위에 영어가 덧붙여있다.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가지는 지위가 Maltese에서는 로망스어군에 해당하고, 한국어에서 20세기 이후 외래어의 대부분이 영어로부터의 외래어인 것과 마찬가지로 Maltese에서도 20세기 이후 영어로부터의 차용이 절대적. 렉시콘에서 각 층위의 비율은 이글 참조 이 언어의 층위구조는 언어의 형성과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즉, 기반언어가 먼저 있었고 이후 로망스 언어들이 사용되던 시기가 출현하였고, 20세기 이후 영어가 덧입혀진 것. 영어의 경우 영국의 영향과 이후 미국 패권 하에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됨. 본 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