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반응형

논문 4

무작위 이름은 어려워

0. 요약 통사론, 의미론으로 수업을 하거나 논문을 쓸 때는 예시문장(예문)을 사용합니다. 예시문장에는 한국어의 "홍길동" 같은 '아무개 이름'이 들어가야 하는데, 이것이 저에게는 골치아팠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저의 고민을 다룹니다. 또한 영어/한국어 예문에서 사용하면 좋겠다 생각하는 무작위 이름 몇 가지도 공유합니다. 1. 왜 예시문장? 저는 음운론 전공이지만, 예시문장(예문)을 만들어야 할 경우들이 간혹 있습니다. 학부 개론수업에서 강의를 해야할 때에는 영어 예문을 만들어서 설명을 도모하고, 통사론 논문을 써야할 때가 간혹 한국어 구문을 설명하기 위해 예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제가 통사-의미론 전공이 아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예문을 만드는 것은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닙니다. 아마도 제가 ..

멀리서 봤을 때 비로소 보이는 언어간 공통점

0. 요약 너무나 당연하지만 인종/국가/사용언어에 무관하게 인간은 인지능력 상 동일하고 평등한 존재이며 그래서 언어는 보편적이다. 인간의 한계는 언어적 한계로 나타나고, 인간의 능력만큼 언어는 활용된다. 언어보편적으로 공통된 특성은 여러가지지만 어떤것은 계산적인 방법을 통해서야 관측되는 것들이 있다. 음운이웃네트워크의 네트워크적 특성이 그것이다. 1. 음운이웃 음운이웃은 두 단어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어떤 두 단어가 있을 때, 음소 하나를 교체하거나 추가했을 때 그 두 단어가 완전히 같은 단어가 된다면 이 단어의 관계를 음운이웃관계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아빠'와 '오빠'는 음운이웃이다. '아빠'와 '나빠'도 음운이웃이다. '아빠-나빠'는 최소대립쌍이 되지 않지만, '아빠-오빠'는 모음의 측면에서 최소..

영어학 학부 졸업논문 주제는 어떻게 정하지?

0. 요약 이 글의 대상 독자는 영어영문학과 학부 3-4학년생입니다. 즉, 통사론, 음운론이 뭔지 아는 수준의, 졸업논문이 고민인 사람들을 위한 글입니다. 학부논문을 위해서는, 기존에 수업에 배운 것에 대해 여러 논문들에서 어떻게 주장했는지를 정리하는 게 중심입니다. 그리고 선택사항으로 그 이론을 새로운 데이터에 적용해보세요!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은 "여기에 적용해보았다"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정 주제를 모르겠으면, 저널이나 언어학 블로그에서 어슬렁거리면 좋은 주제를 잡을 수도 있습니다. 이 블로그도 언어학 블로그인데요, [학부수준 논문 주제 리스트] 등의 포스팅이 있습니다. 목차 1. 나는 왜 이 글을 쓰고 있는가 대학생들이 일반언어학으로 유입되는 큰 경로 중 하나는 영어영문학과에서 영어학을 접하면서인..

생각나는대로 2021.02.07

영어와 한국어 어휘 사용빈도 word frequency data for American English and Korean

0. 저는 석사논문을 영어와 한국어의 음운론적 어휘부(phonological lexicon)에 대해서 썼습니다. 영어와 한국어 어휘들의 발음형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발음형이라 함은, 한국어학에서는 '사전등재형'이라고 불리고 영어학/언어학에서는 '기저형' 'underlying form' 'input' 등으로 불리는 것을 말합니다. (물론, surface forms도 보기는 했습니다만 논문에 포함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단어의 사용빈도가 중요했습니다. 한국어 어휘 사용빈도 자료는 강범모 & 김흥규 (2009) 를 보면 되었는데 영어 자료를 무엇으로 사용해야 할지 논문을 쓰던 당시에는 영어 자료로 무엇을 봐야 하는지 제대로 몰랐고, 제가 봤던 선행연구들에서도 속시원하게 나와있지 않았습니다. 단지 Kuc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