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화용론 14

어색한 문형 die by swimming

0. 요약 Ithaca Falls에 있는 수영 금지 표지판이 어색합니다. 목차 1. People have died by swimming here 이타카 폭포(Ithaca Falls)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위와 같은 수영 금지 표지판이 있다. People have died by swimming here. "여기서 수영하다가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라는 경고문인데, 나는 이 문형이 너무 어색해서 사진을 찍어왔다. People have died swimming here. 이렇게 by를 안 쓰는 게 내 직관에는 더 자연스러운 것 같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문제의 원인은 전치사 by의 사용에 있는 것 같다. 이 글의 나머지에서는 이 문형에 대한 내 생각을 그냥 간단하게 정리해보겠다. 그 전에 일단 문형을 schem..

캐나다 총리 관련성의 격률 위반 사례

0. 요약 캐나다 총리 마크 카니가 화용적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관련성의 격률을 위반(flouting)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미국과의 무역 협상 맥락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신뢰할 수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마크 카니가 직답하지 않과 격률을 위반하며 화용적 효과를 냅니다. 목차 1. 인터뷰 영상과 대화본 https://youtu.be/hvey5lg_B_YThe item included is used under the principles of "fair use" as outlined in Section 107 of the Copyright Act of 1976. It is provided solely for educational purposes to facilitate learning, research, ..

화용적 도출 과정이 없다면

흥미로운 영상을 보았다. 직업병일지도 모르겠지만 화용론에도 도출이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해봤다.🤣 말그대로 '생각나는대로' 카테고리에 걸맞는 포스팅. 연말연시 사회적 빈말을 돌려 하지 않고 그냥 드러내놓고 말하는 경우를 가정한 comedy skit이다.     출처: https://www.facebook.com/reel/1268921261025363The item included is used under the principles of "fair use" as outlined in Section 107 of the Copyright Act of 1976. It is provided solely for educational purposes to facilitate learning, research, an..

생각나는대로 2025.01.03

한국어 코퍼스에서 '이미'와 '벌써'의 차이

계산을 잘못해서 오블완 마지막날이 어제인지 알았지 뭡니까. 그래서 무안하게 어제 '완결'을 내버렸는데, 사실 글 하나를 더 써야한다고 합니다. 새로 쓸 글은 없고, 다른 채널에 썼던 4년묵은 글을 거의 그래도 올립니다. 아래 그림은 물결21 코퍼스 자료에서 나타난 '이미'와 '벌써'의 공기어 차이다. "이미"랑 많이 쓰이는 단어와 "벌써"랑 많이 쓰이는 단어가 다소 다르다.  명사 "상태"는 거의 독점적으로 "이미"하고만 쓰인다. 예컨대 "이미 ______한 상태" 와 같은 구문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반면, 높은 비중으로 "벌써"하고만 쓰이는 단어는 별로 없는 것같다. 다시 말하자면, 문법성과 무관하게 언어의 사용측면에서 문장 내에서 "벌써"는 많은 경우 "이미"로 바꿔쓸 수 있으나, "이미"는 그렇지 ..

생각나는대로 2024.11.27

한국어의 [s↓]

0. 요약한국어에서 들숨 폐소리(pulmonic ingressive)가 준언어적으로(paralinguistically) 쓰이는 경우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목차 1. 들숨 폐소리조음음성학에서는 "공기흐름 출처"(airstream source)가 한 섹션이다. 말소리를 내는 데에는 대부분 공기흐름이 필요한데, 이 공기흐름이 어떻게 만들어지느냐의 문제다. 공기흐름은 폐에서 유발할 수도 있고(pulmonic) 아닐수도있다 (non-pulmonic). 한국어의 경우 모든 음소가 날숨 폐소리(pulmonic egressive)이다. 흡착음 등 공기흐름이 폐로 인해 유발되지 않는 말소리도 있다. (여담이지만, '들숨 폐소리', '날숨 폐소리'와 같은 표현은 이호영 교수님의 "국어음성학"에 나오는 표현이다.) 폐로 ..

정지 신호가 저기 있네 영작하면?

0. 요약"정지 신호가 저기 있네"를 어떻게 영작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는 제보를 받았습니다."There is a stop sign." 과 "The sign over there says to stop." 두 가지 영작을 제시하고 There is.. 를 쓴 전자는 어색하고 그건 영어식 사고 아시아식 사고가 다르기 때문이다 라고 주장됩니다. 이 글에서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해당 두 문장 모두 완벽히 자연스럽지만, 화용적으로 다르게 쓰이는 듯 하다는 것입니다.  이 글은 "갑자기 분위기 언어학" 카테고리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아래 영상을 기초로 "갑자기 분위기 언어학"하는 글이니까요. 🤣영상은 채널A에서 2024년 1월 28일에 방영된 성적을 부탁해 티처스 13회의 일부입니다.  https://yo..

양의 격률 위반 사례 노주현의 차기작

0. 요약이번 포스팅에서는 시트콤의 한 장면에서 양의 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반(floating)하여 화용적 효과를 내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유튜브 영상과 대화 전사 그리고 왜 양의 격률 위반인지를 설명합니다. 목차 1. 대화소개The item included is used under the principles of "fair use" as outlined in Section 107 of the Copyright Act of 1976. It is provided solely for educational purposes to facilitate learning, research, and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여기 포함된 자료는 미국 1976년 저작권법 제107조에 명시된 ..

사람들이 성가시게 생각하는 영어 표현

0. 요약 'Literally', 'I know right?' 그리고 'Whatever' 이렇게 세 가지 표현은 너무 진부하고 아무때나 쓰여서 사람들이 좀 거슬려하는 것 같습니다. 이를 반대로 돌려서 말하자면, 이 세가지 표현을 적절하게 넣으면 천박한 말습관 원어민 느낌을 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1. 표현도 너무 많이쓰이면 닳는다 한국어에서 사람들이 '-것 같아요'를 많이 쓴다고, 규범주의자(문법나치들)들은 불만을 표현하는 일이 많다. '저는 이게 좋은 것 같아요' 등,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인데 '-것 같다'를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주장이다. 혹은, "아메리카노 나오셨습니다"와 같은 소위 '물건 높임법'을 단속하고 다니는 규범주의자들도 많다. 물론 언어학은 언어에 대해 규범주의가 아닌 기술주..

생각나는대로 2023.09.06

Thank you에 어떻게 대답하지? 세대별 차이

0. 요약영어에서 Thank you에 대해 대답하는 방법이 세대별로 다르다. 나보다 윗세대인 Boomers나 Gen Xers은 "You're welcome"을 선호하고, 나를 포함한 Millenials는 "No problem"이라고 한다. 나보다 어린 Gen Z (zoomers)에서는 "Of course"를 널리 쓰는 것 같다. Thank you에 대한 대답:Boomer to Gen X (1980년 이전 출생자): "You are welcome!"Millenials (1981년 - 1996년 출생자): "No problem!" / "That's OK!"Gen Z (1997년 - 2012년 출생자): "Of course!" 더 흥미로운 것은 다른 세대의 표현이 '무례하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언..

생각나는대로 2023.01.31

"미쳤어서" "발려져있다": 선어말어미의 선택

목차 0. 요약이 포스팅은 아래의 유튜브 영상에 나오는 선어말어미의 과잉 선택을 소개하는 것입니다. 가장 처음부분 자막 "얼굴 트러블 미쳤어서 연고가 발려져있어요" 에서 사용된 선어말어미들이 화용론적 이유로 부착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게 요지입니다.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자막에서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서 간단히 현상을 스케치합니다. 즉, 본격적인/정확한 분석이 아니라 현상을 포착하는 것입니다. 더 세밀한 분석을 나중에 할 수도 있고, 혹은 이 글을 읽는 다른 사람이 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아래의 스크린캡처는 위 유튜브 영상의 가장 처음 부분에 나오는 것입니다. "생리 직전이라 얼굴 트러블 미쳤어서 연고가 발려져있어요" 라는 코멘트가 자막에 달려있습니다. 입말로 하는 것이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