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전체 글 263

Raven (큰까마귀) 소리로 언어학하고 있네

0. 도입 몇주 전에 숲속 하이킹하다가 처음 들어보는 새 소리가 나서 폰으로 녹음했습니다. 찾아보니 common raven이 내는 소리 중에서 'knocking sound' 라고 부르는 건가봅니다. 이 글은 새소리를 '언어학하고 있네'하는 글입니다. 목차 1. Praat에서 열어보기 일단 새가 내는 소리 한번 들어보세요 (볼륨 작음 주의) Raven은 까마귀처럼 생겼는데 소리도 다르게 내고 생긴것도 엄청 큽니다. 한국에서는 본 적이 없고, 여기서도 자주는 아니고 숲속에 들어가면 한번씩 봅니다. 나름 신기해서 녹음한 파일 (본 포스팅 최상단에 첨부함)을 praat에서 열어봤습니다 (엥?)스펙트로그램이 무척 못생겼습니다. 보기 좋게 만들어봅시다. 2. 보기 좋게 Spectrogram 설정2.1 Dyna..

2020년대 말뭉치에서 졸리다 의 품사

0. 요약 한국어 어휘 '졸리다'는 규범문법에서 동사 형용사 다의어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 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직관 상 (그리고 다른 여러분들의 직관 상) '졸리다'를 동사로 활용하는 '졸린다'는 다소 어색합니다.2020년 구어말뭉치에서 용례를 보았습니다. 학부 학위논문 주제 찾으시는 분들, 이런걸로 해보세요! 목차 1. 복습 이전 글에서, 유미의 세포들 347화에 나온 "아... 졸린다"라는 표현이 어색한 이유에 대해 '갑자기 분위기 언어학'했습니다.잠시 복습하고 갑시다.https://linguisting.tistory.com/265 졸린다 인가 아니면 졸리다 인가0. 요약 한 웹툰에서 '졸린다'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데, 제 직관 상 다소 어색했습니다. '졸리다'는 동사와 형용사..

바보같은 실수

실험 단어군을 만들다가 실수한 걸 1년 반이 지나서야 깨달았다. IPA로 전사된 한국어 명사들의 tri-gram probability를 학습하고 이에 따라 랜덤하게 가짜단어 (이하, 단어)를 만들어내서 실험단어로 썼었다. 실제 분석할 단어들 외에도 distractor라고 해서 실험의 목적을 들키지(?) 않기 위해서 분석 목적의 단어 외에도 하등 관련 없는 단어들을 생성했다. distractor는 가짜단어들인데 분석목적 단어들이랑 일부러 음절구조가 같도록 만들었다. 가짜단어 생성은 IPA로 이루어졌지만, 한국인 화자를 대상으로 IPA를 보여주고 실험할 수가 없기에, 한글 철자로 이를 표현하였다. 바보같이 과거의 나는 수작업으로 '철자화'를 했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실수했다. tɕʰ ɑ k tʰ ɑ m ..

졸린다 인가 아니면 졸리다 인가

0. 요약 한 웹툰에서 '졸린다'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데, 제 직관 상 다소 어색했습니다. '졸리다'는 동사와 형용사 다의어인데, 제 직관 상 형용사 의미만 있는 것 같습니다. 이 계기를 통해 한국어의 형용사 범주를 생각해봅니다. 목차 1. '졸린다'는 비문인가 웹툰 '유미의 세포들' 347화 ^_^ 에 나오는 한 장면이다.회식을 하고 늦게 집에 귀가하는 김유미가 "아... 졸린다" 라고 생각한다.The item included is used under the principles of "fair use" as outlined in Section 107 of the Copyright Act of 1976. It is provided solely for educational purposes to facil..

Twitter 대신 Bluesky 수집하기

0. 요약이 글에서는 Bluesky에 올라온 글을 수집하는 툴 blueskyscraper를 소개합니다. 목차 1. 왜 social media를 보아야 하나Social media (사회망: social network service)는 끝없이 쏟아져 나오는 언어표현의 원천입니다. 저는 흔히 석유 나오는 유전에 비교하는데, 오늘날 실제 언어를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방식은 바로 social media에 올라오는 언어표현들을 수집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언어학의 아버지 William Labov는 뉴욕 백화점에 잠입(?)하여 점원들의 말소리를 채집했습니다. 동일한 질문 ("무어무어가 몇 층에 있나요?)을 하고 점원들이 "4층이요 The fourth floor" 라고 대답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

Learnability RS 갔다온 메모

0. 요약 이 글은 박사 후보생의 연구 발표에 갔다가 거기에서 질문하지 못한 너무 철학적인(?) 질문들을 메모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덧붙여서 이론언어학의 연구 관심 분야 가운데 하나인 learnability에 대해서도 조금 소개합니다. 오늘날 형식주의 이론 언어학에서는 기계적 방법론에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시대에 연구를 한다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메타적인 고민을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목차 1. 쓸데없이 긴 맥락Learnability 연구하는 다른 과정생의 research seminar에 갔다왔는데 생각했던 지점이 많아서 메모. (4월 20일에 돌아온다면서 글을 쓰고 있을 정도로 생각했던 지점이 많았다!) 언어학의 이론은 일련의 언어표현을 '설명'하는 것이 목표인데, 바로..

생각나는대로 2025.03.11

밀린 친구들 만나고? 친구가 밀렸다고?

0. 요약 "박소은 - 보통의 연애" 가사 중 나오는 표현인 '...밀린 친구들 만나고...' 에 대하여 갑자기 분위기 언어학(!)해지는 글입니다. 어떻게 이런 표현이 나오나 통사적으로 생각해봅니다. 그러나 통사론 비전공자가 재밌자고 농담한 것이니까 분석 부분은 전혀 진지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목차 1. 박소은 - 보통의 연애 (1:50 무렵)일도 열심히 하고,밀린 친구들 만나고, 좋은 사람 생기면 그때는나 잊어도 돼🎵🎵 아 노래 너무 좋다. 그런데 친구가 밀렸다고? 2. 밀린 친구? "밀린 친구들 만나고"는 구문이 재미있다. "밀린"은 대략 [친구 만나기]와 같은 명사절을 수식하는 의미다. (1) "밀린"이 명사를 수식a. 밀린 [숙제]를 했다.b. 밀린 [친구 만나기]를 했다. 그런데 맥락상..

role-rule merger?

오늘 학부생 office hours 하면서 음운규칙(phonological rules) 설명해주는데, 그 학생의 /u/ (rule의 모음)이 상당히 특이했다. 그 학생은 캐나다, 구체적으로 Pacific Northwest 출신인데, 이 지역 화자들이 고모음 /i/ /u/ 를 매우 lax하게 발음한다는 건 이미 충분히 경험했지만 (Canadian Shift라고도 부른다) /u/ 모음의 조음점이 /o/랑 비슷하게 들리는 건 또 처음이었다. Canadian Shift는 캐나다 영어에서 (특히 미국 영어와 비교해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것인데, /i/, /u/ 같은 고모음의 조음점이 전통적인(?) 북미영어모음에 비해 내려가고 뒤로 가는 걸 말한다(Boberg 2008). 아주 대중적이고 인상적인 관찰로, "캐나..

생각나는대로 2025.02.27

평음-격음이 VOT만으로 구분되던 시절?

한국어에서는 달/딸/탈 이 구분되는데, 이때 음소 ㄷ/ㄸ/ㅌ가 후두에 있는 조음기관을 어떻게 조작하느냐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자음이 입과 코의 수준에서 결정된다는 점에서 이건 특별하고, 그래서 별도로 '후두자질 변별'이라고 부른다. VOT는 후두자질의 차이가 음성적으로 어떻게 구현됐는가를 측정하는 음향음성학적 측정도구다. 이건 Voice Onset Time의 약자로 한국말로는 '성대진동개시시간'이라고도 하는데, 후두에 공기가 통과한 후 얼마 뒤에 성대의 진동이 시작되느냐를 측정한 것이다. "타"라고 아주 천천히 발음하고 "따"라고 아주 천천히 발음해서 비교하면, "타"를 발음할 때는 ㅌ..ㅎ....ㅏ, "따"를 발음할 때는 ㄸ...ㅏ 정도로 발음될 것이다. 자음을 발음하기 시작했을 때 (후두에 공기가 통..

'-습니다'와 '-읍니다'

0. 요약1988년 한글맞춤법 이전에 표기상으로 구분되던 '-습니다'와 '-읍니다' 의 분포에 대한 글입니다. 곁다리로 율/률의 문제도 언급합니다.막 40년 가까이 뒷북치는 글이 되겠네요. 목차 1.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니 "설문조사에 응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이 설문조사의 목적은 인간의 언어 이해와 인지 과정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data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각각의 설문은 정답이 따로 없읍니다. 그냥 여러분이 느끼는 대로 알맞은 난에 답하시면 설문조사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핸드폰 저장공간 정리하다가 위와 같은 스크린캡처 파일을 발견했다. 옛날 논문의 일부인데, 부록으로 "설문지는 이걸 사용했노라"라고 인용한 부분이다. 저 부분을 읽고 내가 얼마나 어이가 없..

생각나는대로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