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한국어 어종이 화석화되어서, 한자어든 고유어든 한 어종이 고착되어 있다면 그 고착된 어종에 관여된 음운작용은 생산적이지 않을 것이 예상된다. 비단어를 이용해서 시행한 음운작용의 생산성 실험결과를 드디어 정리하고 있다. 신경망학습의 결과는 비교적 선명하게 나왔다. 기계는 한 기반단어의 어종간 최소대립쌍 차이보다 랜덤하게 한국어 trigram에 충실하게 만든 비단어 간 랜덤한 차이에 더 민감했다. 왜 그런지를 attention weight matrix를 통해 보려고 하는데, 만만하지 않다. 한편 인간실험의 결과는 미묘하다. 모든 음성실험이 그렇듯 결과는 매우 회색이다. 음성학적 자료는 형태론적 자료보다 늘 '해석의 여지'가 크다. 원로 음운론 교수님이 학부 3학년 수업 하실 때 TA를 했었는데, 그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