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언어학으로 박사유학/언어학 박사 생활하기

나는 어쩌다 자격논문을 통사론으로 쓰고있나

sleepy_wug 2021. 3. 9. 19:44
반응형

정신을 차려보니 음운론 전공하는 내가 박사자격논문은 통사론으로 쓰고있다.

 

통사론을 멋있다고 생각했고, 애초에 석사과정에서 통사론을 전공하려고 했었긴 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 그렇지만, 나는 철저히 '관중'의 입장이었고 통사론에서 새로운 논문을 쓴다거나 하는 건 나와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했었다.

 

내가 속해있는 과정은 코스웍과 박사논문 이외에도 자격논문을 2편을 써야한다. 한편은 차용어음운론으로 써서 완성했다. 다른한편의 주제도 내가 1차학기일 때 결정되었는데, 너무 서둘러서 결정한 감이 있다. 사실 후회를 많이 한다. 

 

1차학기때 (나의 지도교수님들 3분으로 구성된) 커미티와 함께한 미팅에서, 2번째 자격논문 주제로 다양한 후보를 탐색했었다. 난 사실 여러 주제중 음운이웃 토픽을 마음에 두고 있었다. 고려대 남기춘 교수님의 논문들을 정리해서 어떤 thesis를 들고 갔었는데, 커미티에 있으셨던 K 교수님이 시큰둥했다.

 

2건의 자격논문은 서로 다른 분야를 다루어야 하는데, 문제는 내가 들고간 음운이웃 thesis가 첫번째 자격논문의 주제와 너무 가깝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나는 1차학기때 듣던 통사론 과목의 기말페이퍼 주제를 확장하는 안건을 그 자리에서 이야기했고, 어쩌다 보니 그것으로 결정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그때의 나는, 어떻게든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당장 첫번째 자격논문이 발등의 불이었고, 두 번째는 정말, 시간이 어떻게든 해결해줄 것이라고 생각했나보다. 사실 통사론 기말페이퍼 자체도 그닥 탄탄하지 않았지만, 그때 이미 그 주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말, 정말, 가소롭게도, 통사론 논문을 쓴다면 쓸 수 있을 줄 알았다.

 

어쩌면 '내 인생에 통사론으로 논문을 써볼 마지막 기회'라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뭔가, 자신의 세부전공이 아닌 타분야의 논문을 쓰기에 박사과정 생활할 때가 인생의 마지막이 아닐까 하는 생각 말이다. 서울대 언어학과의 고희정 교수님은 통사론자신데,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에 게재된 음운론 논문이 한 건 있다. (링크). 그 논문 자체도 멋져보였고 교수님도 멋져보였다. 

 

어쨌든 그때의 잘못된 선택(?)으로 지금 고생에 고생을 하고 있다. 두 번째 자격논문으로 무엇을 쓸 것인지 처음 결정했던 커미티 회의 날과 비교해서 지금은 모든 것이 달라졌다. 한국어, 통사론, 이 두가지 키워드만 남았다. 주제도 변경되었다. clausal complement와 finiteness로 확정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커미티 구성원도 그 주제에 맞게 달라졌다. 애초에 음운이웃 주제에 반대했던 K교수님은 커미티를 떠났다.

 

사실 자기전공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분야의 논문을 쓰는 건 어쩌면 천재들만 가능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완전 문외한은 아니더라도 잘 모르는 것에 대해 쓰려니 시간이 무척 많이 걸린다. 코로나 핑계를 대자면 댈 수도 있는데, 그래도 코로나 치고도 너무 지연되었다. 무엇보다 확실한 건 내가 첫 단추를 잘못 끼었다는 것이다. 적어도 음운론 연구를 발표하고 질문받을 때는 답변이라도 할 수 있었는데, 질문 자체를 이해하는 데에도 버거운 것 같다. 그래도 기왕에 시작한 것, 죽이되든 밥이되든 끌고갈 수밖에 없는 상황.

 

1차학기때 너무 조급해서 첫단추 잘못 낀 것을 후회한다. 돌아간다면, 그 자리에서 확정적인 말을 하기보다는 "1주일만 시간을 더 달라"고 할 것이다. 그 당시 나는 주눅들어있었고 "시간을 더 달라"고 말하는 데에도 용기가 필요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