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언어학으로 박사유학 32

영어영문학과 어학 전공은 어떻게 박사유학을 갈까?

0. 요약 어학전공은 대부분 영어권 대학의 언어학과로 유학갑니다. 언어학과 진학시 개별어(=한국어)와 방법론 두 토끼를 잡아야 합니다. 하지만 둘 다 완벽할 수는 없으므로 한 가지 테크트리를 분명히 타세요. 1. 영문과와 언어학과는 다르다 저는 한국의 인서울 대학 영어영문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공부를 했습니다. 음운론을 전공했고, 서연고 서성한 등 이름있는 대학 출신이 아닙니다. [저의 이야기] 유학원 같은거 근처에도 안 가고 혼자 지원했고, 다행히도 세 군데에서 합격통보를 받았고 캐나다에 있는 대학교에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넉넉지는 않지만 부족하지도 않은 생활비를 받으며 살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얼마 받는데?] 영문과에서 어학, 즉 영어학을 공부하면, 박사과정은 영어권 대학의 언어학과(Depa..

박사유학 초기정착금에 대해

0. 요약 미국이나 캐나다에 박사과정 입학하시는 분들의 경우, 스타이펜드(stipend)라고 해서 학비와 생활비 보조를 받고 가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초창기 (즉, 입국 직후와 첫 학기의 9월 첫달 정도)에 들어가는 비용은 한국에서 준비해서 가셔야합니다. 왜냐하면, 1년치 스타이펜드는 한번에 주는 것이 아니라 3차례 내지는 4차례에 걸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또한 랩이나 프로젝트 참여로 돈이 나오는 경우에도 여러 행정작업으로 인해 당장 돈이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초기정착시기에 경제적 수입이 불안정한 것과는 반대로, 유학생활에서 지출해야 하는 비용은 정착 초기에 많이 들고 점차 일상에 들어가는 비용은 변동폭이 적어집니다. (학생으로 산다는 것은, 사실 돈 들어가는 곳이 뻔하니까요...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