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생각나는대로

5형식 영어문장 수형도 tree diagram 그리기

sleepy_wug 2021. 4. 24. 13:00

 

0. 머리말

이 글의 예상 독자는 영어학개론 혹은 통사론 입문을 듣는 학부생입니다.

 

영어문장의 5형식론은 엄밀한 분류는 아니지만 한국인 독자라면 친숙할 것이므로, 본 글에서도 5형식으로  목차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아래 목록에서 원하시는 부분을 누르시면 됩니다. 혹은 "보어" 등으로 검색해도 됩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수형도를 보기 전에 몇가지 유념하실 것들이 있습니다. 아래 사항들을 꼭 읽어보세요.

 

첫째, 학부 개론 수준(X-bar schema, 문장=TP)의 수형도입니다. 저는 학부 개론 수업을 가르치면서 통사론을 다룹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도 학부 개론 수준에서 영어문장을 분석하고 수형도를 그릴 것입니다. 구문의 분석을 아주 철저하게 하는것은 매우 복잡하고, 학부 고학년 내지는 대학원에서 다룹니다. 이해하기 쉽게 단순화하기 위해, 개론에서는 일정 선을 그어놓고 그 전제하에서 간단한 문장을 수형도로 그립니다. 저희 학교의 언어학개론 커리큘럼은 X-bar schema, 그리고 문장을 TP로 표상(represent)하는 것으로 가르칩니다. 

 

둘째, 두 가지 가설을 전제합니다. 첫번째 가설은 흔히 PISH라고 불리는 술부내부주어가설(predicate internal subject hypothesis)입니다. 이에 따라, 문장주어는 VP의 지정어(specifier)에서 기저생성된다고 가정합니다. 두번째 가설은 VP패각구조가설(VP-shell hypothesis)입니다. 이 두가지 가설은 목적어가 2개있는 구문 (흔히말하는 4형식)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실제 분석에 앞서 이렇게 장황하게 설명한 이유는 각 학교에서 커리큘럼과 강의하는 이론이 다르므로 여기에 있는 수형도가 정답이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어떤 이론을 따르느냐에 따라 문장분석은 다릅니다. 문장분석이 다르면 수형도도 다르게 나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아래 버튼을 통해 기부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목차

     

    0. 목차

    아래 목차에서 원하시는 문형을 클릭해서 확인해주세요.

    1형식: 주어 + 동사 (e.g., Michael came.)

     

    2형식: 주어 + 동사 + 주격보어 (e.g., The dog is clever.)

     

    3형식: 주어 + 동사 + 목적어 (e.g., The pilot destroyed the city.)

     

    4형식: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e.g., I gave him a book.)

     

    5형식: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e.g., I consider him a gentleman.)

     

     

     

     

    1. 주어 + 동사 구문 (소위 1형식)

    간단한 문장형식으로 The child sings. 같은 문장을 들 수 있겠죠.

    구조는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The child sings.

    [TP [DP_a^ The child] [T' [T -es] [VP [DP [D'[D the][NP^ child<a>] ] ] [V' [V sing ] ] ] ] ]

     

    위와 같은 꺽쇠괄호 표기법을, 온라인에서 자동으로 수형도 그려주는 프로그램들에 넣으면 아래와 같은 그림을 그려줍니다. (온라인에서 수형도 그리는 것에 관한 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예를 들어, mshang.ca/syntree/에다가 꺽쇠괄호 표기를 넣어서 그림을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완성된 수형도 링크]

    1형식 수형도

     

    다만 위 그림에서의 화살표는 VP의 지정어 자리에 있는 DP 전체를 대상으로 합니다. 단순히 child만 이동한 게 아니라 the child 가 통째로 이동한 것입니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화살표의 적용범위(?)를 그림판에서 표시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화살표는 DP 전체에 적용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핵이동은 수형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affix hopping이라는 영어 특유의 작용을 거쳐 T의 -es가 V의 sing의 뒤에 부가되어 'sings'로 발음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통사부의 관할이 아니고 PF에서 이루어지는 작용이기 때문에 통사론의 나무그림(수형도)에서는 이를 일반적으로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목차로 돌아가기]

     

    그렇다면 1형식 문장에 부가어(adjunct)가 있으면 어떨까요? 예문을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The child sings in the morning with a friend.

    이 문장에는 밑줄 친 것과 같이, 부가어가 2개입니다.

    • in the morning은 노래를 부르는 시간을 나타내는 PP
    • with a friend는 노래를 부르는 모양새 (친구와 함께 부르는 모양새)를 나타내는 PP

    두 PP 모두 "sing"이라는 동사와 관련되는 부가적 정보입니다. 따라서 해당 PP들을 VP에 부가해서 처리하면 됩니다. 최소주의에서는 VP에 부가되는 것으로 보지만, 제가 가르치는 학부수준에서는 V'를 중첩해서 표현해줍니다. 위의 꺽쇠괄호표시와 비교하여 추가된 부분 (즉 to the school과 with a friend)을 붉은 색으로 표현해보았습니다.

    [TP [DP_a^ The child] [T' [T -es ] [VP [DP [D' [D the] [NP^ child<a>] ] ] [V' [V' [V' [V sing ] ] [PP [P' [P in] [DP^ the morning] ] ] ] [PP [P' [P with] [DP^ a friend] ] ] ] ] ] ]

    온라인에서 자동으로 수형도 그려주는 프로그램들에 넣으면 아래와 같은 그림을 그려줍니다. (온라인에서 수형도 그리는 것에 관한 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mshang.ca/syntree/에다가 꺽쇠괄호 표기를 넣어서 그림을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완성된 수형도 링크]

     

    1형식 + 부가어 들어간 수형도

     

     

    [목차로 돌아가기]

     

     

    2. 주어 + 동사 + 주격보어 구문 (소위 2형식)

    2형식의 경우, 동사 뒤에 나오는 형용사가 주어를 수식합니다. 예컨대 The girl is brave. 라는 문장은 기저에서는 [The girl brave] 가 하나의 덩어리 (예컨대 think와 같은 동사가 목적어로 취하는 덩어리 -- 소절(small clause)라고 합니다)를 이룹니다. 따라서 통사구조를 나무그림으로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꺽쇠괄호식으로 표현해보면

    The girl is brave.

    [TP [DP_b The girl][T' [T {present}] [VP [DP_a^ the girl<b>] [V'[V is] [AP [DP^ the girl<a>] [A' [A brave]]]]]]]

    이 구조를 자동으로 수형도로 바꾸기 위해 mshang.ca/syntree/에다가 꺽쇠괄호 표기를 넣어서 그림을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온라인에서 수형도 그리는 것에 관한 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완성된 수형도 링크]

     

     

    2형식 수형도

     

     

    The girl과 brave는 특수한 통사관계 (지정어-핵)에 있습니다. 이 관계는 의미적으로는 brave가 the girl을 수식해주는 것으로 환원됩니다. 그리고 be동사가 이 AP를 선택하고 VP로 project함에 따라 AP의 지정어인 the girl이 상승이동합니다. T는 [+현재] 자질을 가지고 있을 뿐 소리값이 없습니다. T가 VP를 선택하고 the girl은 문장주어로 상승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수형도가 됩니다.

     

     

    [목차로 돌아가기]

     

     

    3. 주어 동사 목적어 구문 (소위 3형식)

    목적어는 주어와는 관계가 없고 동사가 지시하는 행위에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John kicked the ball 에서 ball은 John에 대해 무엇도 말해주지 않습니다. 이는 유사한 구문인 The girl is brave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 brave는 주어 The girl이 가진 속성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John kicked the ball 같은 구문 (소위 3형식)에서는 kick 과 the ball 이 우선 하나의 구성소를 이루고 거기에 John이 부가되는 구조입니다.

    또한 아래의 구조에서 고유명사의 통사구조에 대해서도 다루고자 합니다. 그리스어 등 많은 언어에서는 고유명사에도 관사를 붙일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그렇지 않은데, 이것은 언어보편적인 것이 아니고 다만 영어의 특성일 따름입니다. 따라서 John과 같은 고유명사는 N으로 이해되고 이것이 일단 NP로 project한 다음에, 소리값이 없는 D에 의해 selected된다고 봅니다. 즉, John이라는 DP의 내부구조는 [DP [D' [D ∅ ] [NP^ John]]] 으로 표상됩니다. (아래그림 참조) 여기서 ∅은 소리값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그럼 문장 전체를 수형도로 그려볼까요? 그에 앞서 꺽쇠괄호식 표기로 하자면..

    John kicked the ball

    [TP [DP^_a John] [T'[T -ed][VP [DP^ John<a>] [V' [V kick] [DP [D' [D the][NP^ ball] ] ] ] ] ] ]

    이 구조를 mshang.ca/syntree/에다가 넣어서 그림을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완성된 수형도 링크]

    (온라인에서 수형도 그리는 것에 관한 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반응형

     

     

     

    [목차로 돌아가기]

     

     

    4. 이중 목적어 구문 (소위 4형식,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이중목적어 구문(double object construction)에서는 하나의 동사에 관계된 목적어가 2개 있습니다. 수여동사를 이용한 구문을 대표적인 예로 드는데, Tom gave him a book 같은 문장이 바로 이중목적어 구문입니다. (고등학교까지의 문법에서 흔히 말하는 4형식이 바로 이중목적어구문입니다)

    바로 이 이중목적어구문을 기초로 해서 성립된 가설이 VP패각구조 가설(VP-shell hypothesis)입니다. Larson (1988)에서 제기된 가설인데, 이중목적어구문과 동사+PP 구문사이의 유사성에서 출발해서 수여동사들의 구조가 핵심 동사 의미를 이루는 핵과 그 위에 단지 껍데기뿐인 핵 이렇게 양파처럼 되어있다고 말합니다. 위와 같이 목적어를 2개 취하는 동사 give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표상됩니다.

    The structure of 'give'

    [VP [V' [V_a give][VP[DP^ him][V'[V give<a>][DP^ a book]]]]]

    VP-shell hypothesis

    [VP-shell 나무그림 링크]

    a book을 select하는 V (give)가 실제 내용을 가지고 있는 핵이고, 그것을 감싸고 있는 상위의 V는 사실상 껍데기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하단의 V가 그 껍데기 V 로 이동함으로써 목적어가 2개인 구문이 나오는 것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VP패각구조가설' 혹은 VP-shell hypothesis를 찾아보시면 좋습니다. 용기(?)가 있으신 분은 Larson (1988) Larson, R. (1988). On the double object construction. Linguistic Inquiry, 19(3), 335-391. 을 직접 읽으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Tom gave him a book 을 수형도로 그려봅시다.

     

    일단 꺽쇠괄호표기로 표현하면

    Tom gave him a book.

    [TP[DP^_b Tom][T' [T -ed] [VP [DP^ Tom<b>][V' [V_a give][VP[DP^ him][V'[V give<a>][DP^ a book]]]]]]]

     

    왜 자꾸 수형도에 앞서 꺽쇠괄호표기를 하느냐하면, 그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첫째, 통사구조를 표현하는 방식은 우선 꺽쇠괄호표기가 기본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촘스키언 통사론과 컴퓨터과학이 결별하기 전이었던 1950년대로 거슬러올라가야하는데, 어떠한 요소(element)가 가지는 범위(scope)를 표시하는 데에 괄호가 사용되었습니다. 이 흔적이 지금까지 남아 통사론에서는 꺽쇠괄호표기를 기본값으로 사용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아래와 같이 꺽쇠괄호를 이용해 예약어와 함수의 적용범위를 지정합니다. 아래의 예시는 파이썬 코드입니다. 

    def draw_tree(sentence, pencil, student):
        draw(tool=pencil, 
        	unit=[parse(word) for word in sentence],
            drawer=student)

    위 예시에서, draw() 라는 함수의 인자들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표시되어있는지는 괄호 ()로 표시됩니다. 마찬가지로 통사론에서 [VP eat the ball] 이라고 꺽쇠괄호를 쓰는 것은 VP로 묶이는 범위가 [eat the ball] 까지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둘째, 이렇게 꺽쇠괄호로 나타내어놓으면, 온라인으로 수형도를 쉽게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위 문장에서 주어만 Tom에서 Jane으로 바꾸고 싶다면, 하나하나 다시 그릴 필요없이 꺽쇠괄호 표기에서 Tom부분만 Jane으로 바꾼 다음 다시 온라인 툴에 집어넣어주면 됩니다. 

     

    어쨌든, 이제 꺽쇠괄호표기

    Tom gave him a book.

    [TP[DP^_b Tom][T' [T -ed] [VP [DP^ Tom<b>][V' [V_a give][VP[DP^ him][V'[V give<a>][DP^ a book]]]]]]]

    이것을 온라인 툴에 집어넣겠습니다. 이 구조를 mshang.ca/syntree/에다가 넣어서 그림을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온라인에서 수형도 그리는 것에 관한 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완성된 수형도 링크]

     

     

    T의 [past]자질의 음성적 실현은 -ed이고, 영어 특유의 작용인 affix hopping을 통해 give의 형태를 gave로 바꿉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것은 영어만의 독특한 부분이고 통사부에서 다루지 않고 음운부에서 다루는 영역입니다. 따라서 수형도에는 보통 표기하지 않습니다.

     

    [목차로 돌아가기]

     

     

    5. 목적보어 구문 (소위 5형식,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이번에는 목적어에 이어 목적보어를 취하는 문형의 수형도를 그려봅시다. 예문으로는 Michael thinks him a gentleman.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앞서 살펴본 이중목적어 구문(double object construction)처럼, 이번 구문에서도 동사 뒤에 통사체가 2개 있습니다. 그러나 앞선 문장에서와 달리 him과 a gentleman 사이에는 특수한 관계가 있습니다. a gentleman이 him의 속성을 표현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반면 think와 him, 그리고 think와 gentleman사이에는 동사-목적어 관계가 없습니다. him=a gentleman을 통째로 think가 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him a gentleman이 하나의 통사단위를 이루는 게 우선입니다.

    "him a gentleman"과 같은 통사단위를 소절(small clause)라고 하는데, 소절의 분석은 이론에 따라 다양합니다. 하지만 개론수준에서는 주어 + 동사 + 주격보어 구문 (앞서 2절 부분 참조) 에서와 같이 AP로 분석합니다. 다만 이때 A는 소릿값이 없다고 합니다. AP로 분석하는 것은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이에대해서는 조금 뒤에 다시 살펴봅니다.


    The structure of "him a gentleman"

    [AP [DP^ him][A'[A ∅][DP^ a gentleman]]]

     

    그럼 이제 문장 전체를 수형도로 나타내봅시다. (물론 그 전에 꺽쇠괄호표기를 할겁니다)

     

    Michael thinks him a gentleman.

    [TP[DP^_a Michael][T'[T -s][VP[DP^ Michael<a>][V'[V think][AP [DP^ him][A'[A ∅][DP^ a gentleman]]]]]]]

    5형식 수형도


    [완성된 수형도 링크]

    왜 "him a gentleman" 같은 소절을 형용사절(adjective phrase)로 보아야 할까요? 심지어 이 경우 형용사는 소릿값도 없는데 말이죠. 그 이유는 소릿값을 가지는 실제 형용사가 들어갈때 분명해집니다. 예컨대, Michael thinks him dead. 같은 문장 말이죠. 이러한 문장의 구조를 나타낼 때에는, 아래 꺽쇠괄호 부분의 AP부분(붉게 칠한 부분)만 맞게 수정해주면 됩니다. dead같은 형용사는 목적어를 취할 수 없으니 a gentleman에 해당하는 DP부분을 날려버리면 간단하겠죠. (여기서 dead가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는 말은, afraid 같은 형용사를 염두에 둔 것입니다. afraid는 목적어를 취할 수 있습니다. 물론 of라는 전치사가 필요하지만요)

    [TP[DP^_a Michael][T'[T -s][VP[DP^ Michael<a>][V'[V think][AP [DP^ him][A'[A ∅][DP^ a gentleman]]]]]]]

     

    자 그래서 Michael thinks him dead의 구조는..

    [TP[DP^_a Michael][T'[T -s][VP[DP^ Michael<a>][V'[V think][AP [DP^ him][A'[A dead]]]]]]]

     

    이걸 그대로 mshang.ca/syntree/에다가 넣어서 그림을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온라인에서 수형도 그리는 것에 관한 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완성된 수형도 링크]

     

     

     

    [목차로 돌아가기]

     

     

     

     

     


    • 아래에 댓글창이 열려있습니다. 로그인 없이도 댓글 다실 수 있습니다.
    • 글과 관련된 것, 혹은 글을 읽고 궁금한 것이라면 무엇이든 댓글을 달아주세요.
    • 반박이나 오류 수정을 특히 환영합니다.
    • 로그인 없이 비밀글을 다시면, 거기에 답변이 달려도 보실 수 없습니다. 답변을 받기 원하시는 이메일 주소 등을 비밀글로 남겨주시면 이메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