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언어학 기타등등

처음 들어본 통사론 강의 노트 (1/3): 아주 기초

sleepy_wug 2025. 4. 20. 08:15

0. 이건 무슨 글? 

제 블로그 타이틀인 '언어학하고 있네'는 현재형입니다. 그러나 저에게는 '언어학하고 싶네'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건 그때 제가 썼던 노트를 박제 옮겨적은 포스팅입니다. 총 3편으로 나눠 올리며 이 포스팅은 그 가운데 첫번째입니다.

 

이사를 하면서 서랍속 아주 깊은 곳에서 '발굴'한 물건 중에서는 제 통사론 입문 강의노트가 있었습니다. 10년도 더 된 과거였으므로, 종이 위에 손으로 꾹꾹 눌러쓴 노트인데, 보존의 목적과 그냥 흥미 목적으로 여기에 옮겨 씁니다.

 

개구리 올챙이 적 기억 못한다고, 아마도 지금의 저는 언어학을 처음 접하는 학부생에 공감하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부끄럽지만 오개념이 가득할 수도 있는 이 노트를 옮겨적습니다. 처음 언어학을 배우는 사람들이 가지기 쉬운 오해들이 무엇인지, 스스로 일깨울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 글의 나머지에서는 제가 발견한 강의 노트를 옮겨적겠습니다. 너무 많이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빨간색으로 코멘트를 하겠습니다.

 

목차

     

    (통사론 글인데 수형도가 빠질 수 없죠? 이 블로그 제목의 구조를 표현하는 수형도입니다.)

     

     

    1. 개관

    1.1 언어와 언어학

    1. 언어: 의사소통 수단. 전통적으로 음성 신호의 조직으로 구성. 인간 본연의 특이 기능.

    - 언어를 연구하는 것은 인간 본질을 탐구하기 위함이다.

    * Chomsky: "Languages as the mirror of the mind"

     

    2. 언어학: 인간 언어에 대한 과학적 연구.

    분류1: 보편적 언어연구 vs 개별언어(영어, 한국어, 불어...) 연구

    분류2: 순수언어학(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화용론...) vs 응용언어학

     

    응용언어학에는 심리언어학(언어습득, 언어인지, 언어장애)과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계층, 민족, 문화)이 포함된다.

     

    1.2 언어와 통사론

    1. 통사론: 문장의 구성, 즉 문장이나 구를 형성하기 위해 단어를 조합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분야. 장의 내부구조를 연구한다고 하여 구문론이라고도 한다.

    2. 현실 문장 형성: 상향식 분석(words → phrases → clauses → sentence)

    3. 통사규칙: 문장형성을 위한 단어의 결합 규칙 
    예: NP → Det + N, VP → V + NP, S → NP + VP

    4. 언어 능력 (통사 능력): 문법적 문장을 형성하기 위해 단어를 결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단어의 결합(문장)이 문법적인지 비문법적인지 판단하는 능력

     

    1.3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괄호 안 영어를 귀엽게도 필기체로 썼음)

    1. 구조주의 (1950년대 중반 이전) ... 실제 언어 생활에서 규칙을 발견

    - 객관적, 실증적, 귀납적 언어 연구 방식 (행동주의적 배경)

    - Saussure 1916 일반언어학 강의: 랑그(Langue)와 파롤(Parole)의 구분

    -- Langue는 언어 안에 내재된 구조관계의 공통적 추상체계 (뭔 소리인가 싶음. 이렇게 고도로 추상적이고 개념화된 필기는 이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는 반증)

    -- Parole은 개인의 실질적인 언어 행위. ←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방점 (이건 오개념임.)

     

    2. Syntactic Structures (Chomsky 1957) ... 최소의 규칙으로 무한한 문장 생성 (책의 이름은 Syntactic Structures 인데 왠지 계속 단수형으로만 필기했음...)

    - Competence (cf. Langue)에 관심을 가지고, Performance (cf. Parole)에는 관심 X

    - 객관적, 실증적, 연역적 언어 연구 방식 (이성주의적 배경)

    - 언어의 창의성, 무한성, 선천적 언어능력

     

    2. 통사구조와 문법(Syntactic Structure, 1957)

    2.1 통사구조와 변형생성문법

    1. Linguistic Competence: Infinity and creativity

    ① 문법규칙, 연역적 방법을 통하여... 모든 문법적인 문장을 생성, 비문법적인 문장에 대해 비문법적인 이유 설명하는 device (장치). 

    ② 무한한 생성 및 과잉일반화(overgeneralization) → Linguistic Competence = Grammar

    ③ Language Acquisition (cf. language learning)

    - 변형생성문법의 주안점 (구조주의에서는 language learning에 집중) ...구조주의 부분은 아마 잘못 적은 것인 듯? 

    - 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 → 인간 보편이므로 Universal Grammar

    - Critical period (사춘기 이전) ⇒ 다른 종류의 학습보다 시기상 빠름 (음성학적 결정적 시기는 어느정도 널리 받아들여지지만 통사론적 결정적 시기는 어디까지나 가설입니다... 대립가설로는 통사적 결정적 시기 따위는 없고 나이 아무리 먹어도 언어 통사 습득할 수 있지만, 이미 L1이 확립된 이후에는 그 영향으로 인해 외국어 통사 습득이 어려워지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2. 생성문법의 발전

    - Syntactic Structure 1957 → Standard Theory (1965 - 1970s) → Government & Binding (1980s) → Economy Theory (1991) → Minimalist Program (1990s - )

    - Chomsky 이론의 우월성 (우월...성??? 🤨)

    ① 문법의 형식화 가능 → 이후 Computational Linguistics와 응용언어학 성립에 영향 (지금의 나는 동의하지 않지만, 그땐 그렇다고 배웠습니다.)

    ② 언어의 무한성(생성) 설명 가능

    ③ 보편 문법의 초석 마련

     

    2.2 Syntactic Structures and Grammaticality

    ① Grammaticality와 Acceptability의 구분

      Grammaticality Acceptability
    He sat on the sofa. 👍 👍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 ⛔️
    Me plan travel there next month. ⛔️ 👍
    Furiously sleep ideas green colorless. ⛔️ ⛔️

     

    ② Grammaticality는 Language competence, Acceptability는 language performance와 연관

     

    3. Phrase Structure (구구조)

    3.1 문장의 구조

    - 문장은 하위 단위인 구와 단어로 구성됨

    - 통사구조(1957)에서는 immediate constituent analysis (직접 구성소 분석)를 통한 구절구조 분석 제안

    - 수형도 모델 사용해서 구절 구조 파악

     

    3.2 PS rules and Tree diagram

    ① PS rules (구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s)

    - 단어가 구를 만들고 구가 다시 문장을 만듦

    예:
    N + Det → NP
    V + NP → VP
    NP + VP ⇒ S

     

    ② 수형도

    - 구구조규칙을 도표화하여 나타내는 것

     

    - 수형도의 용어

    node (절점) constituent
    mother / daughter / sister immediate constituent
    dominate (관할)  

    사용 예시:
    The node S is the mother of NP and VP, so NP and VP are sisters (with the same mother), but N and V are not sisters.
    The node S immediately dominates NP and VP, and dominates everything else in the tree.
    Constituent is any section of the tree that has a single mother

     

    mother/daughter/sister를 아직도 쓰는지는 잘 모르겠음. 그러나 지금은 압도적으로 parent/child/sibling이라는 성중립적 표현을 많이 사용함. 

     

    4. Constituent Structure

    4.1 Constituency Test

    * Constituent: 문장의 hierarchical structure

    ① '문장이 계층적 구성소 구조를 가진다'는 근거 (6가지 있음)

    ㄱ. 구조적 중의성 (structural ambiguity)

    [[very old men] and [women]] vs. [[very old][men and women]] 

    [I love [Egyption [cotton shirts]]] vs [I love [[Egyptian cotton] shirts]]

    cf. lexical ambiguity 예시: We met at the bank. The capital of England.

     

    ㄴ. 등위 접속(only constituents can be conjoined)

     

    ㄷ. 삽입 (Major constituents의 boundary에서만 삽입이 가능함)

    I certainly will wash the dishes.

    I will certainly wash the dishes.

    * I will wash certainly the dishes.

    * I will wash the certainly dishes.

    I will wash the dishes certainly.

     

    ㄹ. 대치(substitution): 구성소만이 대용어나 의문사로 대치가 가능

    VP는 do, do so로 대치

    PP를 there로 대치 (I put the book on the table. → I put the book there.)

     

    ㅁ. 삭제 (Deletion / Omissibility): Only VP can be omitted 

     

    ㅂ. 이동(movement)

    They put the car in the garage.

    → What did they put       in the garage?

    → * What did they put the       in the garage?

    → Where did they put the car      ?

    → * Where did they put the car in the      ?

    또한 It _____ that 구문에서 _____ 안에는 constituent만 들어감

     

    ②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 constituency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