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2024/07 4

한달만에 논문 실적 만들어드립니다

https://korea.inha.ac.kr/sites/inhakorea/upfiles/tb_kor_study/58/11.pdf4명 발화 분석.wavesurfer로 폐쇄구간과 마찰구간 길이 측정기술통계만 가지고 "평균차이 있으니 집단 간 차이 있다"는 결론. 61%와 65%는 "거의 동일한 발음 양상"[sic] 심지어 기술통계도 평균값만 보고함 (분산조차 보고안함).  한국어 음운론 연구자 치고 성문자질(laryngeal features)에 대한 의견 하나 없는 사람 드물테고, 나 역시 내용면에서 할말이 있지만 접어두고, 형식면에서도, 어중 격음/경음이 어떤 특징이 나타난다고 말하려면 당연히 baseline으로 평음을 비교해야 하는것 아닌가? 만약 성문자질 전공이 아니더라도, 논문 쓰면서 선행연구를 한 ..

생각나는대로 2024.07.30

친족명사 의미 내부 구조 있나?

0. 요약"아빠, 엄마, 누나, 언니, 오빠" 같은 친족명사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사실 등급성 형용사이거나 혹은 명사내부구조가 있는 것 같습니다. 목차 1. "내가 너무 누나"갑자기 어디서 접한 데이터인데 이런 대화쌍이 있었다. A: "누나, 오늘 너무 고마웠습니다."B: "누나라기엔 내가 너무 누나인데?" "너무 누나"라는 표현의 의미는, 내 직관 상, "내가 너보다 나이가 너무 많다"인 듯하다. 혹은 대화맥락 상으로는, 누나-동생과 같은 호칭은 나이 터울이 일정정도 나는 한도내에서 사용되는 게 일반적인데, A가 나이많은 나에게 누나라고 부르니 놀랍다 정도를 의도했을 수도 있다. 비슷한 용례가 또 있다.2020년 예능 '놀면뭐하니'에 나온 장면인데, 김종민이 엄정화를 좋아했지만 "너무 누나라서" 좋아한..

용언 사귀다의 어휘상(lexical aspect)이 변했나?

0. 요약아래 웹툰에서 나온 "사귀다"의 용례에 대한 글입니다. 위 용례에서 '사귀다'는 행위의 완성 지점(도착점)이 존재하는 [+telic] 자질을 가지는 듯한데, 이것은 저의 직관 상 어색합니다. 언어변화의 일부일 수도 있고, 아니면 제 직관이 오염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목차 1. 어휘상 (lexical aspects)용언의 의미론에서 어휘상 (Aktionsarten 혹은 lexical aspects)은 흔히 동사가 지칭하는 행동의 시간적 특징을 분류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4+1가지로 분류하고, 양극값을 가지는 자질(binary features)로는 [telic], [duration]을 이용해 기술할 수 있다.  한국어 용언과 함께 예시하자면 아래와 같다. 명칭자질명세한국어 예시States[..

Gen Z가 바라보는 우리 세대

저는 Millennial인데, 항상 저와 제 친구 입장에서 Gen Z를 바라보면서 이런 저런 인상 (혹은 편견)을 이야기하곤 합니다. 그런데 반대로 Gen Z에 속하는 대학생들에게 우리 세대에 대한 인상을 물어봤습니다. Gen Z가 바라보는 Millennial의 특징이 몇 가지 있는 듯 했습니다. 불안정(insecure)하고, Gen Z의 유행을 따라하려고 과도하게 노력하는 것 같으면서도 이따금씩 옛날얘기를 한답니다. (한국식으로, "라떼는" 정도 되겠네요) 불안정하다는 게 무슨 의미냐고 elaborate해달라고 하니, 예컨대 세대구분에 민감하고 자기보다 윗 세대(Gen X), 아랫 세대(Gen Z)와 사소한 것이라고 자신들을 구분하려고 애쓰는 것이 안쓰러워 보인다고 합니다. 재미있게도 "Millenni..

생각나는대로 2024.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