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Bouncing ideas 생각 작업실/lexical subclassing

Split-phonology 용어정리와 접근법 제안

sleepy_wug 2021. 3. 4. 12:26

관련 이전글: 링크1 링크2

아예 "Emergent approach to lexical partitioning" 이런식으로 접근법을 틀어버리는 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1. 용어정리 (strata vs partitions)

"고유어(즉, 순우리말/大和言葉 etc.) - 한자어 - 외래어" 라는 층위(Strata) 용어가 etymologically-based grouping에서 overused되었으므로 stratum 대신 partition을 사용하고, 따라서 고유어-한자어-외래어 대신 partition I, partition II, partition III ...을 사용하기로.

 

다시말해서, 이미주어진(어쩌면 학습자가 도달해야 하는 이상적인 상태?) 그룹들을 Strata라고 한다. Strata는 etymological groups 

 

그리고 partitions는 실제 인지되고 (착각되고) 사용되는 그룹들. Strata가 어원적으로 주어진 것이라면 Partitions는 emergent한 것이다. 

 

예컨대 종종 고유어로 착각되는"시소"라는 단어는 Foreign stratum에 속하지만 Native partition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도대체"는 Sino-Korean stratum에 속하지만 Natie parition에 속할 수 있다. (실제로 국한문혼용 당시의 신문에서도 도대체를 한자표기하기보다는 한글로 표기함)

 

일본어에서도 한자어의 음독 자체를 가나표기하는 경우가 Sino-Japanese stratum / Native partition.

 

2. Misalignment between parition and startum

  • 인지적 측면에서 "이거 한자어였어? 외래어였어?" 하는 순간들이 있다는 인상근거들:
    - "바"라는 한자어는 없다.
    - "시소"는 외래어다.
    - "도대체" 한자어다.
  • 학교문법에서도 한자어 -> 고유어로 아예 범주를 바꾼 경우들
    - "삼춘"
  • 규칙적용에 있어서의 gradiency
    - 사잇소리(Compound Tensification)는 대체로 고유어를 대상으로하지만 한자어도 간혹 가능.
  •  

3. Emergence of partition by different levels of factors

3.1 Buttom-up -- 저수준(sub-phonemic)에서 출발해서 고수준(morphophonological processes)까지. 

 

저수준 factor로 어휘 grouping한 다음 Morphophonological process가 partitioning 타당성 판별의 근거.

 

L-tensification이나 bi-syllabic nonapplication of compound tensifying 등은 매우 categorical하게 Sino strata를 대상으로 한다. 이 규칙들의 경우 strata와 partitions가 fully align.

 

그러나, compound tensification (사잇소리) 경우 gradiency가 나타난다. 만약 emergent partitions 결과 사잇소리 적용여부를 categorical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어떨까?

 

즉, Partition I (~한자어)는 다음 두 작용에 대해 categorical하다: L-tensification 적용, CT 비적용 

Partition II (~고유어)는 다음 두 작용에 대해 categorical하다: L-tensification 비적용 CT 적용

 

 

3.2 Top-down -- 고수준(morphophonological processes)에서 출발해서 저수준(sub-phonemic)까지.

 

음운규칙을 기준으로 partition을 나누고, 각 partition에 나타나는 phoneme / sub-phoneme 을 categorical하게 나눌 수 있는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