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Bouncing ideas 생각 작업실/data sharing 생각재료 나누기

언어변화로 인해 차용양상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sleepy_wug 2021. 1. 19. 14:42
반응형

[기독교 성서인물 이름 번역]

예를들어 과거 '이삭'이라고 옮겨졌던 인물명이 현대 가톨릭 "성경"에서는 '이사악'으로 표현됨. 모음의 장단음 구별이 사라지면서, 해당 이름의 제2음절의 장음 /ㅏ/를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음절을 만들어내는 선택을 함. 즉, 모음을 추가해버린 것으로 보임.

이사악은 구약의 창세기에 나오는데, 가톨릭 측 언론에 따르면 구약의 번역은 1950-60년대에 처음 이루어졌다고 함. "구약성경 번역에 처음 손을 댄 이는 선종완 신부다. 가톨릭대 성서학 교수였던 선 신부는 히브리 성서에서 번역한 구약 낱권 14권을 1958~1963년에 펴냈다. 한국교회 첫 구약성경 번역이다." (출처)

그렇다면 개신교 쪽의 구약 번역이 앞선 것으로 보이는데, 50-60년대까지는 신구교가 (적어도 구약은) 같은 성경을 보았던 것일까? 

 

[어두유성음 경음->평음 차용]

강윤정 선생님의 2008년 논문에 따르면 1930년대에 비해 21세기에 경음차용 빈도가 떨어짐. 그리고 그것은 한국어 후두자질이 VOT만 변별되다가 VOT+pitch 두가지로 변별되는 언어변화의 결과로 인한 것임.

(Kang, Yoonjung. 2008. Tensification of voiced stops in English loanwords in Korean.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12. 179-192. [논문] [handout])

 

VOT로만 변별될때는, 영어 어두 유성음의 짧은 VOT가, 마찬가지로 VOT가 짧은 한국어의 경음으로 mapping되었음.

하지만 지금은 영어 어두 유성음의 짧은VOT와 낮은pitch 중 무엇을 mapping하냐에 따라, 경음으로 차용되느냐 평음으로 차용되느냐가 결정됨.

 

왜냐면 (1930년대와 마찬가지로) 짧은 VOT를 mapping한다면 경음차용이 될 것이고 (한국어 경음도 VOT가 짧음)

낮은 pitch를 mapping한다면 평음차용이 될 것임 (한국어의 경음은 pitch가 높고, 한국어의 평음은 pitch가 낮음.

 

그러나,

"In present day Korean , vocalic cues outweigh the VOT cue (Kim et al. 2002, Silva 2006)" 라고 하므로 VOT보다 pitch에 따른 차용, 즉 유성음 -> 평음 차용이 더 두드러짐.

반응형

 

[동남방언에서 차용어의 pitch accent변화]

동남방언 어린이 화자와 성인 화자의 차용어 발음을 비교한 이현정 교수님의 2020년 논문에 따르면, 나이가 어린 화자들에게서 pitch summit이 뒤로 밀리는 경향성이 발견됨. 이것은 동남방언에서 전반적으로 pitch summit이 뒤로 밀려서 HL 패턴도 HH혹은 LH가 되어버린 언어변화와 궤를 같이함.

 

영어단어 'gas'를, 어린애들은 " 까_ 쓰◝ " 라고 하고, 이미 언어습득이 끝난 성인들은 " 까◝ 쓰_ " 라고 하는 형국. 

 

하지만, 원어에 대한 노출이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을까? 즉, 하나의 가설로서, LH로의 차용이 무표적이고 현재 성인들도 어렸을때 모든 차용어를 LH로 발음했는데, 차차 영어에 노출되면서 HL로 이행????

 

(Lee, Hyunjung. 2020. An acoustic comparison of phonetic realization between South Kyungsang Korean-speaking children and adults’ English loanword production.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26.2. 303-320. [논문])

 

[중모음 중화와 영어차용]

영어에는 전설중모음이 /ɛ/와 /æ/ 로 구분되는데, 한국어에서는 이 음소들을 전통적으로 각각 ㅔ 와 ㅐ 로 차용되었다.

  • bed -> 베드
  • bad -> 배드

그런데 한국어 전설중모음 ㅐㅔ는 더이상 음소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과연 영어 전설중모음 차용양상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이 연구는 트위터 상의 한글 트윗을 연구했는데, 여전히 전통적인 차용양상이 계속되는 것 같다. 매우 신기한 일이다. 한편, 흥미로운 부분은 /æ/를 ㅔ로 잘못 차용하는 경우가 반대의 경우보다 흔하다는 점. (출처: https://namsling.tistory.com/4 )

또한 손가연 교수님의 2018년 논문도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http://doi.org/10.18853/jjell.2018.60.3.013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화자들이 영어노출 정도에 따라 영어 /ɛ/와 /æ/를 얼마나 잘 구분하는지 실험했다. 영어 노출정도가 높을수록 두 음소를 더 잘 구분해서 발화하거나 인지하였다.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 것 같다. 문제는 이것이 차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