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식되는 층위에 따라 절대적 음향정보(모음지속시간)이 다른 모음길이로 인식된다. (Moreton and Amano 1999) 왜 일본어에서는 층위에 따라 모음길이 인식 차이가 나타나지?
→ 기존 층위가 activate되고 난 후, 그 층위라면 기대될 모음길이. (조건부확률)
한국어에서도 층위에 따라 contrastiveness가 다른 사례가 존재하나? 그렇다면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Bouncing ideas 생각 작업실 > lexical subclas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반도에서 쓰이는 언어들의 subclassing (2) | 2022.07.10 |
---|---|
lexical subclassing 일단 쓰면서 생각하기. (0) | 2022.06.21 |
음운이웃의 층위효과? (0) | 2022.05.10 |
subclassing 학습 2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0) | 2022.02.08 |
lexical subclassing은 사실 '범주분류'와 '선택적(규칙)적용'의 두단계 학습 (0) | 2022.02.08 |